비만대사수술 전 가장 결핍이 흔한 영양소는 비타민D로, 전체 환자의 80%가 ‘결핍’, 14%가 ‘불충분’ 상태에 해당..비타민D는 칼슘 대사 및 골밀도와 연관이 있어...
비만대사수술 환자들이 많이 결핍된 영양소는 ‘비타민D’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박영석(사진) 교수 연구팀은 비만대사수술을 받은 215명의 데이터를 사용해 수술 전 환자들의 영양소 결핍 상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비만대사수술 전 가장 결핍이 흔한 영양소는 비타민D로, 전체 환자의 80%가 ‘결핍’, 14%가 ‘불충분’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타민D는 칼슘 대사 및 골밀도와 연관이 있어, 수술 후 체중과 근육량이 감소하면서 동시에 비타민D 결핍에 의한 골밀도 저하가 동반된다면 골절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비타민D 다음으로는 비타민B1(18.3%), 엽산(14.2%), 철분(11.8%), 아연(7.6%) 순으로 결핍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네 가지 모두 우리 몸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결핍 시 각기병이나 빈혈, 면역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특히, 엽산 부족은 자녀의 선천성 신경계 질환의 발병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가임기 여성의 경우 수술을 앞두고 반드시 결핍 여부를 확인 및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만대사수술은 위소매절제술 등을 통해 식사량을 줄이고 당류 등 영양소의 체내 흡수를 제한하는 수술이다. 수술 방법에 따라 ▲위 크기를 줄이는 '위소매절제술' ▲위를 식도 부근에 조금 남기고 소장과 직접 연결하는 '루와이 위우회술' ▲위소매절제술과 십이지장 우회를 함께 시행하는 '십이지장 치환술(담췌전환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수술 이후에는 전체적으로 영양소의 섭취, 흡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비타민, 철분 등 필수적인 미세영양소가 고갈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수술 전부터 부족한 영양소는 수술 이후 결핍이 더 심해질 수 있어, 이를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박영석 교수는 “비만 환자들은 영양 과잉일 것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신체활동이 적고 식습관이 한쪽으로 기울어 있어 오히려 결핍된 영양소가 많다”며 “연구를 통해 밝힌 주요 결핍 영양소를 중심으로 부족한 부분을 미리 파악하여 보충해 준다면, 비만대사수술 후 영양 결핍을 최소화하면서도 건강하게 체중 감량, 혈당 감소 목표를 이룰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비만대사수술연맹의 SCI급 국제학술지 ‘Obesity Surgery’에 게재됐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자료출처 : 세계일보 2021-04-07
www.segye.com/content/html/2021/04/07/20210407505544.html?OutUrl=naver
댓글 영역